우리 몸을 고통스럽게 하는 근육통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운동 당일 - 근육통 예방
운동을 꾸준히 해오신 분들이라면 어느 정도의 운동이 근육통을 일으킬지 감이 생기지만 초보자의 경우는 가벼운 운동만으로도 근육통이 생기기도 합니다.
단순한 근육통의 경우 일상생활에 고통을 주기도 하지만 다른 합병증이 없다면 큰 문제는 없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운동 당일 근육통을 푼다는 것은 예방하는 방법에 가깝습니다.
근육통을 예방할 수 있는 시기는 운동 전과 운동 후입니다.
운동 전 충분한 준비 운동은 근육에 가는 부담을 줄여주고 다음 날 생기는 근육통을 줄여주며 운동 후에 진행하는 가벼운 유산소와 스트레칭은 근육통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근육통의 주요 원인 두 가지는 근섬유의 손상과 젖산입니다. 근섬유는 회복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빠른 해결이 어렵지만 젖산의 경우는 다릅니다.
젖산은 산소와 만났을 때 다시 에너지원으로 바뀌어 우리 몸에 도움을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동 후 진행하는 가벼운 유산소와 스트레칭은 근육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젖산을 다시 에너지로 바꿔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근육통 1일 차
근육통이 가장 아픈 시기인 1일 차입니다. 1일 차에 가장 움직이기 힘들고 근육통의 부위에 따라서는 걷는 것조차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가만히 쉬는 것이 분명 도움이 되지만 이것은 해결보다는 방치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1일 차에 진행하기 좋은 해결 방법은 가벼운 산책과 찜질입니다. 움직이기 힘들다고 해서 가만히 있으면 몸이 더 굳기 마련입니다.
산책과 찜질은 몸에 적당한 열기를 돌려 근육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며 몸에 산소를 공급하는 좋은 방법들입니다.
다만 찜질의 경우는 열에 의해 부드럽게 만든 후에 가벼운 마사지를 함께 진행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열이 식으면서 오히려 더 굳어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근육통 2~3일 차
1일 차에 비해 움직임이 조금 편해지셨다면 가벼운 운동을 진행해 주셔도 됩니다. 근육통의 원인이 되는 운동을 가벼운 강도로 진행하는 것도 괜찮으며 근육통이 없는 부위의 운동 위주로 진행하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
가벼운 운동과 함께 직접적인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함께 해주시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근육통에 의해 굳어있는 근육을 직접적으로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것이 장기적인 기능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스트레칭은 원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마사지의 경우에는 가벼운 지압부터 통증이 양호해지는 정도에 따라 마사지의 강도를 올리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만약 1일 차와 통증이 차이가 크지 않다면 1일 차에 진행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주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근육통 4일 차 이후
통증의 원인을 근육통인지 아닌지 판가름할 수 있는 날짜입니다.
대부분의 근육통은 3일 차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가 됩니다.
잔여 통증이 남아있는 경우는 많을 수 있지만 첫날에 비하면 통증의 강도는 많이 약해져 있어야 일반적인 근육통으로 간주합니다.
일반적인 근육통이라면 앞서해 왔던 과정을 계속 반복해 주시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근육통의 둔통이 첫날과 비슷한 정도로 남아있거나 근육 이외의 관절에서 통증이 계속 나타난다면 병원에서의 진단을 받아보셔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만성 근육통
뚜렷한 원인을 모른 채로 3개월 이상 지속해서 근육통이 나타난 경우에 해당합니다.
의학적으로 원인이 밝혀진 병일 수도 있고, 아닌 병 또한 있습니다.
정확한 검진을 통해 원인을 해결하거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잘못된 자세, 수분과 영양의 불충분, 스트레스에 의한 근육의 긴장 또한 근육통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만성적인 근육통이 있다면 위에 3가지를 중점적으로 바꾸시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근섬유의 손상에 의해 나타난 통증은 몸이 회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지만, 젖산에 의해 나타나는 근육통은 다양한 관리를 통해 충분히 통증의 정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근육통의 관리를 통해 통증이 줄어드는 정도를 잘 파악하시기를 바라며 혹시라도 근육통 이외의 통증이 의심되신다면 빠른 의학적 조치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2023.12.04 - [건강정보] - 팔꿈치 통증의 원인 및 증상별 분류 알아보기
팔꿈치 통증의 원인 및 증상별 분류 알아보기
팔꿈치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게 작용하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팔꿈치 통증의 증상별로 나타날 수 있는 통증 부위와 통증에 관계되는 부상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heldam.co.kr
2023.11.29 - [건강정보] - 허리 통증의 종류와 구분 방법
허리 통증의 종류와 구분 방법
허리 통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한 가지로 정의하고자 한다면 정확한 의학적 진단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어떤 형태로 통증이 있는지를 구분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시기
heldam.co.kr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근육통의 증상과 개선 방법 (0) | 2023.12.12 |
---|---|
근육통의 원인과 유사한 통증 (0) | 2023.12.12 |
당뇨병이 정말 위험한 이유 - 저혈당 증상 (0) | 2023.12.07 |
당뇨병의 초기증상과 피해야 할 음식 TOP 4 (0) | 2023.12.07 |
저혈압 이해하기: 증상과 조심해야 하는 행동 (0)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