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급처치7 응급처치 - 연령별 기도폐쇄 해결 방법(하임리히 법) 성인의 경우 음식을 잘못 먹거나 아이의 경우 장난감 등이 목에 걸리면 호흡이 방해되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기도폐쇄 상황에서 어떻게 해결할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기도폐쇄의 원인과 증상 성인의 원인 음식이 목에 걸림 먹는 속도가 빠르거나 웃을 때 기도로 넘어감 틀니를 착용하면 음식물을 씹는 자각이 힘듦 소아 및 영아의 원인 포도알, 땅콩, 등의 음식물 캔음료 뚜껑 등의 쓰레기 옷핀, 동전, 구슬 등의 생활용품 펜 뚜껑 등의 학용품 원형 건전지 분류 및 증상 부분 기도폐쇄 호흡은 가능하지만 반복적인 기침을 합니다 말을 할 수는 있지만 자연스럽게 손이 목을 향합니다. 부분 기도폐쇄는 완전 기도폐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완전 기도폐쇄 말을 하거나 소리 지르거나 기침이 불가능합니다. 얼굴이 푸른색으로 변하기도.. 2024. 1. 12. 응급처치 - 심폐 소생술 하는 방법과 AED 응급처치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심폐소생술일 것입니다. 최신 반영된 심폐소생술의 방법과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 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심장의 역할은 우리 몸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합니다. 그러나 심정지로 인해 뇌를 비롯한 장기가 산소를 공급받지 못한다면 서서히 기능을 멈추게 됩니다. 그러면 얼마나 공급이 안되면 기능이 멈추게 될까요? 사람의 평균 심박수는 1분에 60~100회 정도입니다. 이는 초당 1.5회 이상 뛰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심정지가 발생하고 1분까지는 이미 공급된 양으로 버틸 수 있으나 1분 이후부터는 위험해집니다. 뇌세포의 손상 에너지 고갈로 인한 장기 손상 근육이 굳어버리기 시작 5분이 지난다면 뇌에 치명적인 손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장이 30.. 2024. 1. 12. 응급처치 - 연령 별 환자의 상태 파악하는 방법 응급상황에서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어떤 상태인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정말 위험한 상황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위험한 상태 응급상황에서 쓰러져 있는 환자를 보면 4가지를 가장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무의식 무호흡 호흡곤란 대량출혈 언급된 상황 모두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입니다. 더 자세한 파악을 위해서는 환자의 의식이 있는지와 없는지를 먼저 구분해야 합니다. 응급처치 - 의식 없이 쓰려져 있을 때 대처 방법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발견해서 다가갔는데 의식이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환자가 위험한지 알 수 있을까요? 필수 확인 3대 요소 기도 호흡 출혈 기도 확인 기도는 호흡을 위한 통로로서 매우 중요 heldam.co.kr 환자의 의식이 있다면 환자의 동의를 구하고.. 2024. 1. 10. 응급처치 - 의식 없이 쓰려져 있을 때 대처 방법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발견해서 다가갔는데 의식이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환자가 위험한지 알 수 있을까요? 필수 확인 3대 요소 기도 호흡 출혈 기도 확인 기도는 호흡을 위한 통로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혀가 말리면서 기도를 막게 되면 호흡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생명에 더욱 위협적인 상황이 됩니다. 기도유지 방법 머리 기울이고-턱 들어 올리기(Head tilt - Chin tilt)라 불리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한 손은 이마에 올리고 다른 손으로 턱을 위쪽으로 올려, 고개를 살짝 뒤로 젖히게 만듭니다. 유아의 경우는 이마에 손만 올려서 약간 기울이는 정도면 충분합니다. 기도가 열림과 동시에 혀가 안쪽으로 말려서 기도가 막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호흡 확인 호흡을 확.. 2024. 1.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