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삐었다'라고 표현하는 부상은 염좌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염좌가 무엇인지 어떻게 초기 염좌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염좌의 원인과 뜻
염좌는 관절에서 나타나는 부상의 일종으로 근육, 인대, 힘줄 등이 손상이 생긴 상태를 나타냅니다.
부상 부위에 따라서 치료 기간이나 치료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부상 이후 간단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염좌는 주로 발목, 무릎, 허리에 자주 나타나며 어깨나 손가락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상의 정도나 통증 정도에 따라서 간단한 찜질로 끝나기도 하지만 수술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스포츠부상: 운동 중 급격한 움직임이나 충돌에 의해 발생하며 스포츠 별로 주로 다치는 관절이 다릅니다.
- 낙상: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서 부딪히거나 관절이 꺾이면서 염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사고: 사고에 의한 외상이나 관절 부위에 강한 충격에 의해 염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좌의 증상
- 통증: 가장 흔한 염좌 증상입니다. 관절 주변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고 움직이면 더 심해집니다.
- 부기: 염좌로 인해 염증 반응이 나타나 부어오르기 시작합니다. 부상 직후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 힘줄 긴장: 염좌의 원인이 힘줄일 때 나타나며 힘을 주거나 움직이기 힘든 느낌이 발생합니다.
- 발열: 통증과 부종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빨라져 염증반응을 가속화시키면서 나타납니다.
- 피부색 변화: 일부 염좌는 부상 주위에 혈액 순환을 변환시켜 피부색을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염좌의 응급처치
스포츠 상황에서 부상을 당했을 경우 일차적인 응급처치를 통해 부상의 악화를 예방하고 원활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줍니다. 스포츠를 즐기신다면 이 부분을 잘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PRICE 원칙
Protect(보호)
부상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안전하게 고정합니다.
추가적인 손상을 막고 부상 부위가 피부 위로 노출되었을 경우나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호의 방법은 테이핑이나 붕대를 이용하거나 깨끗한 천으로 덮습니다.
Rest(휴식)
부상 직후 관절의 움직임은 추가적인 인대나 힘줄의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휴식을 취하셔서 악화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Ice(냉찜질)
부상으로 인해 부기와 열감이 나타날 경우 조치할 수 있습니다. 염증 반응에 의해 나타난 증상들이기 때문에 냉찜질을 통해 열감을 줄여주면 부기의 감소와 염증반응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Compression(압박)
부상 부위에 밴드나 압박붕대를 이용해 관절의 고정과 동시에 부어오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부종에 의해 혈액순환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치료 과정이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단! 너무 강한 압박은 오히려 혈액순환을 막을 수 있습니다
Elevation(높임법)
부상 부위를 가능한 심장보다 높게 드는 방법입니다. 부상 부위로 가는 혈액 순환을 줄여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PRICE 원칙은 어떤 스포츠를 즐겨하시더라도 적용될 수 있는 원칙입니다. 스포츠를 즐겨하시는 장소에 기본적인 응급처치 도구인 압박붕대, 얼음팩 등이 구비되어 있는지를 꼭 확인하셔서 안전하고 즐거운 스포츠 생활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3.12.12 - [건강정보] - 근육통을 빠르게 푸는 다양한 방법들 알아보기
근육통을 빠르게 푸는 다양한 방법들 알아보기
우리 몸을 고통스럽게 하는 근육통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운동 당일 - 근육통 예방 운동을 꾸준히 해오신 분들이라면 어느 정도의 운동이 근육통을 일
heldam.co.kr
2023.12.07 - [건강정보] - 당뇨병의 초기증상과 피해야 할 음식 TOP 4
당뇨병의 초기증상과 피해야 할 음식 TOP 4
우리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은 왜 나타나는지 혹시 당뇨병이 아닐지 의심이 들만한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당뇨병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음식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함
heldam.co.kr
'응급처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처치 - 심폐 소생술 하는 방법과 AED (1) | 2024.01.12 |
---|---|
응급처치 - 연령 별 환자의 상태 파악하는 방법 (0) | 2024.01.10 |
응급처치 - 의식 없이 쓰려져 있을 때 대처 방법 (2) | 2024.01.10 |
응급처치의 목적은 무엇일까? (0) | 2024.01.09 |
응급상황 가이드 - 행동 방법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