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알고 있지만 막상 행동해 보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상황으로는 응급상황이 있습니다. 오늘은 응급상황에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좋은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응급처치 4단계
상황 인지 - 행동 결정 - 119 신고 - 응급처치 시행
응급상황을 발견하고 구조를 요청하고 응급처리를 시행하기까지는 위에 4 단계의 과정을 거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응급상황 인지
사실 응급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안전입니다.
내가 안전해야 응급처치가 필요한 환자가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인지에서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은 주변 환경입니다.
- 현장이 안전한지
- 환자 주위에 위험한 것이 있는지
-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 같이 응급처치를 도와줄 주변 사람이 있는지
이 4가지를 먼저 빠르게 파악한 후에 본인의 안전을 먼저 챙긴 후에 응급처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고 현장 등 |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응급 상황 |
주변에 파손된 물건 | 횡설수설 한 말투 |
약품 또는 매캐한 냄새 | 호흡 곤란 |
기계나 장비의 소리 변화 | 갑자기 쓰러짐 |
스파크, 연기, 불 | 가슴 또는 목을 움켜잡음 |
이 외에도 많은 상황에서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를 위협하는 환경에서 벗어나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행동 결정
우리가 직접 행동하지 못했던 대표적인 이유 4가지입니다.
- 혹시나 잘못될까 하는 두려움
- 환자가 정말 응급상황일까 하는 불확실성
- 손상이나 질병의 형태
- 신고를 해야 하나 안 해도 되나 하는 고민
직접적으로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지만, 직접적으로 행동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꼭 119에 신고는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요즘에는 119에 신고 후에 전화나 영상통화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지시를 받고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119 신고
119에 신고할 때 중요한 것은 차분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 무슨 일이 있었는지(화상, 낙상, 익사 등)
- 얼마나 다친 것처럼 보이는지(호흡, 피부색, 피가 나는지 등)
- 환자의 상태는 어떤지(의식이 있는지 등)
- 현재 주소를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하기(동네 이름, 근처 건물이름 등)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나면 응급의료상담원의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담원의 질문을 통해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를 먼저 끊지 않고 기다려야 합니다.
응급처치 시행
우리가 아는 가장 대표적인 응급처치는 심폐소생술입니다.
다만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와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심폐소생술만이 응급처치의 전부는 아닙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응급처치 시 알고 있으면 좋은 내용입니다.
- 환자의 의식과 호흡 확인(심폐소생술 여부 확인)
- 체온 유지를 위한 대책( 저체온과 고체온 대비)
-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 주기(심적 안정과 움직임을 통한 2차 손상 방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할 때 신경 써야 하는 대표적인 3가지는 의식, 호흡, 체온입니다.
이 3가지에 대한 처치를 119 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육통을 빠르게 푸는 다양한 방법들 알아보기
우리 몸을 고통스럽게 하는 근육통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운동 당일 - 근육통 예방 운동을 꾸준히 해오신 분들이라면 어느 정도의 운동이 근육통을 일
heldam.co.kr
당뇨병이 정말 위험한 이유 - 저혈당 증상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혈당 수치의 조절이 일정하지 못한 만성 질환입니다. 혈당이 많아도 문제가 되지만 혈당 수치가 낮아졌을 때 문제가 더욱 심각해집니다. 어떤 증상들이 우리
heldam.co.kr
'응급처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처치 - 심폐 소생술 하는 방법과 AED (1) | 2024.01.12 |
---|---|
응급처치 - 연령 별 환자의 상태 파악하는 방법 (0) | 2024.01.10 |
응급처치 - 의식 없이 쓰려져 있을 때 대처 방법 (2) | 2024.01.10 |
응급처치의 목적은 무엇일까? (0) | 2024.01.09 |
염좌의 원인과 응급처치 방법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