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구조는 다양한 만큼 원인과 증상 또한 다양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통증의 증상은 무엇이 있고 부위별로 대표적인 질환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귀의 구조
소리를 듣기 위해 존재하는 귀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이
귓바퀴: 귀의 가장 바깥에 있는 부분으로 소리를 귀 안으로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 귓바퀴와 중이 사이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주로 귀지를 생성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이물질과 감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부위입니다.
중이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에 위치하며, 음파의 진동을 이소골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소골: 고막으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로 세 개의 작은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스타키오 관: 중이와 인후를 연결하는 튜브입니다. 중이와 외부의 압력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해서 고막이 자유로운 진동이 가능하게 합니다.
내이
전정기관: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머리의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여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달팽이관: 이소골을 통해 넘어온 진동을 신경세포로 변경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청각신경: 달팽이관의 세포로부터 생성된 신경신호를 뇌의 청각 중추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증상별 통증
1. 날카롭고 갑작스러운 귀통증
갑작스러운 통증은 주로 급성 통증이라 불리며, 귀의 급성 통증은 감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중이염: 중이가 감염되어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생긴 증상입니다. 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발열과 청력 손실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외이염: 외이도의 피부감염이 원인인 질환입니다. 귀를 만지거나 누를 때 통증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물에 오랫동안 노출된 후에 감염되거나 너무 잦은 마찰로 상처가 나서 생기기도 합니다.
이관 기능 장애: 상기도의 감염으로 인해 압력이 변화되어 나타난 질환입니다. 귀 뒤의 날카로운 통증과 함께 먹먹해지는 증상이 특징입니다.
2. 지속적인 둔한 귀통증
지속적인 둔통은 주로 압력 변화나 염증에 의해 발생합니다.
삼출성 중이염: 중이에 액체가 차 있을 때 발생하며, 귀에 물이 찬 듯한 느낌과 함께 청력이 감소하는 증상이 특징입니다.
이충만감: 고도 변화에 의해 이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통증이 발생합니다. 비행기를 타고 높은 곳이 이동하거나 잠수를 통해 바닷속에 들어갈 때 일어나는 통증이 이와 같습니다.
만성 중이염: 장기적인 감염으로 인해 귀에서 지속적인 분비물이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드물게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부위별 질환
1. 외이도 관련 질환
외이염: 피부 관련 질환이나 장시간 물에 노출 또는 잦은 피부 마찰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귀뚜라미 털 증후군: 외이도에 남아있는 털과 같은 이물질이 외이도에 염증을 유발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증상입니다.
2. 중이 관련 질환
중이와 관련된 질환은 대부분 염증에 의한 질병이 많습니다. 중이염이 급성인지 만성인지 삼출성처럼 물에 의해서인지 원인에 따라 증상 역시 다르기 때문에 외이도에 의한 마찰이나 뚜렷한 원인을 의심하기 어렵다면 중이의 염증을 의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과는 다르게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열이 나기도 합니다. 귀에서 흰색이나 노란색 분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3. 내이 관련 질환
메니에르병: 내이의 액체 균형이 깨져 발생하며, 청력 손실, 이명, 현기증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납니다.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에 염증이 발생하며 주로 현기증이 발생합니다. 때때로 귀에 압박감을 동반하여 통증을 유발합니다.
내이염: 바이러스나 감염에 의해 염증이 나타남으로써 심한 통증과 함께 청력감소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귀 통증은 보이는 구조처럼 어디 부위에서 통증을 유발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시하기 쉬운 통증이나 증상일 수도 있지만 심각한 질환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지속되거나 반복적인 통증이 계속된다면 빠르게 전문가를 만나 치료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3.11.06 - [건강정보] - 피부병의 종류 알아보기
피부병의 종류 알아보기
이 카테고리는 여러분들이 불편한 증상을 겪고 인터넷에 검색했을 때 도움을 드리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병의 진단은 법적으로 의료진만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의 증상을 제일 정확하게 파악
heldam.co.kr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리 임신테스트기의 사용법 및 주의사항 (0) | 2023.11.20 |
---|---|
임신 초기 증상 알아보기 (1) | 2023.11.20 |
눈병의 종류 및 증상 (0) | 2023.11.13 |
두통 부위별 증상 (0) | 2023.11.08 |
수면장애의 종류 및 개선 (0) | 2023.11.07 |